본문 바로가기

𝑷𝑳𝑨𝑵𝑻𝑺22

종을 닮은 은방울꽃 은방울꽃 [Lily of valley] 1. 학명 및 분류 Convallaria keiskei Miq. 식물계(Plantae), 속씨식물군(Angiosperms)/외떡잎식물군(Monocots), 비짜루목(Asparagales), 비짜루과(Asparagaceae), 놀리나아과(Nolina), 은방울꽃속, 은방울꽃 2. 은방울꽃의 특징 은방울꽃은 국내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중국, 일본, 동시베리아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또한 은방울꽃은 핀란드의 국화이기도 합니다. 은방울꽃의 개화 시기는 4월~6월입니다. 꽃의 색은 흰색이며, 길이는 6~8mm의 종 모양입니다. 갈라진 꽃잎은 6갈래로 통꽃입니다. 수술은 암술을 둘러싸고 있으며, 6개가 있습니다. 은방울꽃의 열매는 수분이 많고 껍질이 많.. 2024. 3. 2.
백합[百合] 백합 [White Trumpet Lily] 1. 학명 및 분류 Lilium longiflorum 식물계(Plantae),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속씨식물군(Angioperms)/외떡잎식물군(Monocots), 백합목(Liliales), 백합과(Liliaceae), 백합아과(Lilioideae), 나리속(Lilium), 백합(L. longiflorum) 2. 백합의 특징 백합은 순우리말로 나리라고도 말합니다. 백합은 종류가 워낙 많아서 백합속 전체를 통칭하고 있습니다. 110여 종이 있으며, 보통 우리가 말하는 백합은 흰나리를 말합니다. 하지만 국내에만 10여 종이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흰색의 백합은 순결과 재생의 상징이며, 전 세계적으로 연인을 위한 선물로 선택되는 꽃 중의 하나입니다. .. 2024. 2. 29.
제주도 봄꽃, 유채 유채 [Rapeseed] 1. 학명 및 분류 Brassica napus L. 식물계(Plantae),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속씨식물군(Angiosperms)/쌍떡잎식물군(Eudicots), 십자화목(Brassicales), 배추과(Brassicaceae), 배추속(Brassica), 유채(B. napus) 2. 유채꽃의 특징 유채꽃은 배추와 양배추가 자연 상태에서 교배하여 생긴 꽃이며, 꽃의 색은 노란색입니다. 개화 시기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는데, 남부 지역은 3월~5월, 중부 지역은 4~6월입니다. 또한 전 지역에서 유채꽃을 볼 수 있지만 제주도가 넓은 유채꽃밭이 있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유채꽃은 순우리말로는 '평지', 그리고 '가랏 나물', '겨울초' 라고도 부릅니다. 유채꽃이 자연.. 2024. 2. 27.
대한민국의 국화, 무궁화 무궁화 [無窮花 , Hibiscus syriacus, Rose of Sharon)] 1. 학명 및 분류 Hibiscus syriacus 식물계(Plantae),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속씨식물군(Angiosperms)/쌍떡잎식물군(Eudicots)/장미군(Rosids), 아욱목(Malvales), 아욱과(Malvaceae), 무궁화속(Hibiscus), 무궁화(H. syriacus) 2. 무궁화의 특징 무궁화의 개화 시기는 7월 초부터 10월 중순까지이며, 꽃의 색깔은 붉은색, 분홍색, 연분홍색, 자주색, 흰색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또한 꽃잎은 밑부분에 단심이라고 하여 색이 더 짙은 부분이 있는데, 바깥쪽으로 꽃의 색과 같은 색의 선들이 뻗어 자랍니다. 이 단심의 색으로 품종을 나누기도.. 2024. 2. 26.
연못에 사는 꽃, 연꽃 연꽃 [Lotus] 1. 학명 및 분류 Nelumbo nucifera 식물계(Plantae),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속씨식물군(Angiosperms)/쌍떡잎식물군(Eudicots), 프로테아목(Proteales), 연꽃과(Nelumbonaceae), 연꽃속(Nelumbo), 연꽃(N. Nucifera) 2. 연꽃의 특징 연꽃의 원산지는 인도이며, 베트남의 국화입니다. 연꽃은 여러해살이 식물로, 2년 이상 겨울을 버티면서 살아나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연꽃의 개화 시기는 더운 여름인 7~9월로, 연분홍색, 흰색, 노란색, 보라색 등의 다양한 색상을 지니고 있습니다.연꽃은 가시가 있는 꽃대 끝에 한 송이씩 달리게 되며, 꽃받침은 녹색을 띱니다.꽃잎의 모양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하게 생겼고.. 2024. 2. 24.
프리지아 프리지아 [Freesia] 1. 학명 및 분류 Freesia refracta 식물계(Plantae),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속씨식물군(Angiosperns)/외떡잎식물군(Monocots), 아스파라거스목(Asparagales), 붓꽃과(Iridanceae), 크로커스아과(Crocoideae), 프리지아속(Freesia), Freesia refracta 2. 프리지아의 특징 프리지아의 원산지는 남아프리카로, 붓꽃과에 속하는 알뿌리 식물입니다.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됩니다. 프리지아의 이름은 최초 발견자인 덴마크 식물학자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크 에클론의 동료인 독일 식물학자 겸 의사 프리드리히 프레제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향설란이라고도 불립니다. 프리지아 꽃의 길이는 30.. 2024.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