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ࡇ¯

K패스 교통카드 신청 (알뜰교통카드에서 전환)

by 공원관리인 2024. 4. 15.
반응형
K-pass 교통카드

목차
1. K-패스란 무엇인가?
2. K-패스 신청 방법
3. K-패스 신청 자격
4. 알뜰교통카드에서 전환하기
5. 사용 가능 지역

 

1. K-패스(케이패스)란?

K-패스는 월 15일 이상 대중교통(시내버스, 지하철 등)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지출 금액에서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받는 제도를 말합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는 이동거리에 따라 출도착을 기록하여 마일리지를 환급받았는데, 이를 개선하고자 출시된 제도입니다.

 

또한 일반 대중교통 외에도 GTX-A, 광역버스 등 고비용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K-패스 적용이 가능하며, 1회당 환급 상환액은 검토 후 별도 공지 예정입니다.

 

국토교통부에서는 국민들이 교통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기존의 7월보다 앞당겨 5월부터 조기 시행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카드사 혜택에 따라서 추가 할인(최대 10%)이 되어 교통비 절감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적립률 1,500원 기준 ex) 월 교통비 8만원 지출시 환급액
일반 20% 300원 16,000원
청년
(만 19세 ~ 만 34세)
30% 450원 24,000원
저소득층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53% 800원 42,400원

* 이동거리 무관 /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반응형

2. K-패스 신청 방법

신규 이용자는 K-패스 공식 누리집 (korea-pass.kr)이나 모바일 앱 또는 11개 카드사를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선택하여 이용가능합니다.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티머니,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

3. K-패스 신청 자격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능

4. 알뜰교통카드에서 전환

[알뜰교통카드 vs K-패스]

알뜰교통카드 K-패스
이동거리 비례 적립 (최대 800m) 이동거리 무관
출도착 기록 O 출도착 기록 X

 

*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K-패스 회원 전환 절차를 거치면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사용하는 카드로 K-패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5. 사용 가능 지역

인구수 10만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 제외한 모든 지역은 사용 가능합니다.

 

[미참여 지역]

 

김제, 고창, 부안, 진안, 무주, 장수, 고흥, 화순, 영암, 영광, 곡성, 구례, 보성, 장흥, 강진, 함평, 완도, 진도, 문경, 예천, 의성,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봉화, 울진, 울릉, 속초,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