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봄꽃4

제주도 봄꽃, 유채 유채 [Rapeseed] 1. 학명 및 분류 Brassica napus L. 식물계(Plantae),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속씨식물군(Angiosperms)/쌍떡잎식물군(Eudicots), 십자화목(Brassicales), 배추과(Brassicaceae), 배추속(Brassica), 유채(B. napus) 2. 유채꽃의 특징 유채꽃은 배추와 양배추가 자연 상태에서 교배하여 생긴 꽃이며, 꽃의 색은 노란색입니다. 개화 시기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는데, 남부 지역은 3월~5월, 중부 지역은 4~6월입니다. 또한 전 지역에서 유채꽃을 볼 수 있지만 제주도가 넓은 유채꽃밭이 있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유채꽃은 순우리말로는 '평지', 그리고 '가랏 나물', '겨울초' 라고도 부릅니다. 유채꽃이 자연.. 2024. 2. 27.
프리지아 프리지아 [Freesia] 1. 학명 및 분류 Freesia refracta 식물계(Plantae),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속씨식물군(Angiosperns)/외떡잎식물군(Monocots), 아스파라거스목(Asparagales), 붓꽃과(Iridanceae), 크로커스아과(Crocoideae), 프리지아속(Freesia), Freesia refracta 2. 프리지아의 특징 프리지아의 원산지는 남아프리카로, 붓꽃과에 속하는 알뿌리 식물입니다.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됩니다. 프리지아의 이름은 최초 발견자인 덴마크 식물학자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크 에클론의 동료인 독일 식물학자 겸 의사 프리드리히 프레제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향설란이라고도 불립니다. 프리지아 꽃의 길이는 30.. 2024. 2. 22.
다양한 색의 튤립 튤립 [Tulip] 1. 튤립의 유래 및 역사 튤립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이며, 네덜란드의 국화입니다. 튤립의 유래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데, 튤립이라는 아름다운 처녀를 보고 가을의 신 벨투느가 첫눈에 반하게 되어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했지만 받아주지 않았습니다. 벨투느는 이에 사랑이라는 감정이 분노로 바뀌게 되어 그녀에게 위협을 가하였는데 튤립이 놀라서 정조의 여신 다이애나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됩니다. 정조의 여신 다이애나는 그녀를 꽃으로 변하게 하여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주었는데 그 꽃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튤립'이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신화가 있습니다. 튤립은 16~17세기에 네덜란드에서 특히 사랑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튤립 열풍'이라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는데, 이후 튤립의 값이 오르게 되.. 2024. 2. 13.
봄을 알리는 꽃, 목련과 매화 봄의 시작을 알리는 꽃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중에서 목련과 매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련 [Magnolia] 목련의 학명 및 분류 Magnolia kobus A.P.DC 식물계, 현화식물문, 목련강, 목련목, 목련과, 목련속 목련 이름의 뜻 목련의 이름은 나무에서 피는 연꽃이라는 뜻입니다. 새하얀 꽃잎이 물에서 피는 연꽃과 닮아서 붙여졌다고 합니다. 목련의 생김새 목련은 잎이 새하얀 백목련과 자줏빛의 자목련이 있습니다. 목련은 10m 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가지가 굵고 털이 없고 많이 갈라집니다. 어긋나게 나는 잎은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게 자라나 있습니다. 6장의 꽃잎과 3장의 꽃받침을 갖고 있고 흰색의 꽃잎입니다. 목련은 관상용 식재되며, 잎이 크고 새하얗고 풍.. 2024. 2. 9.